장기요양등급이란?
장기요양등급은 노인이나 장애인이 일상생활에서 도움을 필요로 할 때, 국가에서 제공하는 요양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평가하는 제도예요. 이 제도는 65세 이상의 노인이나 특정 건강 상태를 가진 분들이 대상이 되며, 요양 서비스의 필요성을 평가하여 등급을 부여해요. 등급은 1등급부터 5등급까지 있으며, 등급에 따라 받을 수 있는 서비스의 종류와 양이 달라져요.
장기요양등급의 필요성
장기요양등급을 받는 것은 노인분들이나 장애인분들이 필요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중요한 첫걸음이에요. 특히, 치매와 같은 질병을 앓고 계신 분들은 일상생활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데, 이때 장기요양등급을 통해 적절한 지원을 받을 수 있어요. 주간보호센터와 같은 시설에서 전문적인 돌봄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게 되죠.
***중요한건 65세 이상의 노인이 치매 뿐 아니라 노인성 질환등으로 도움이 필요할때 도움을 드리는 제도 랍니다.
장기요양등급의 혜택
장기요양등급을 받으면 다양한 혜택이 주어져요. 예를 들어, 방문요양 서비스나 주간보호 서비스 등을 통해 전문적인 돌봄을 받을 수 있어요. 등급에 따라 지원되는 금액도 다르게 지원된답니다.
2025년 장기요양 수가가 발표되었습니다.
주야간보호센터는 올해 대비 2.12% 인상되었습니다.
2025년 장기요양 주야간보호 수가 발표에 따라 감경율을 포함한 본인부담금을 정리했습니다
주야간보호센터의 본인부담금은 15%이며, 차상위계층은 15%, 9%입니다.기초생활 수급자 의료급여는 본인부담금이 0%입니다.
※2025년 주간보호 장기요양수가 및 본인부담금
구분
|
수가(원)
|
본인부담금(원)
|
|||
8시간이상~
10시간 미만
|
1등급
|
67,770
|
10,166
|
||
2등급
|
62,780
|
9,417
|
|||
3등급
|
57,960
|
8,694
|
|||
4등급
|
56,380
|
8,457
|
|||
5등급
|
54,780
|
8,217
|
|||
인지지원등급
|
54,780
|
8,217
|
주간보호는 결론적으로 추가(비용) 2,12%인상되었습니다
여기서 수가는 쉽게 말하여 주간보호센타를 이용하는 원가비용이고 본임부담금은 수가에서 국가가 지원해주는 비용을 뺀 어르신이 실제로 부담하는 비용을 말합니다.
<2025년 급여유형별 수가 인상률>
평균
|
요양시설
|
공동생활가정
|
주야간보호
|
단기보호
|
방문요양
|
방문목욕
|
방문간호
|
3,93%
|
7,37%
|
2,07%
|
2,12%
|
2,08%
|
1,89%
|
2,14%
|
2,34%
|
주간보호, 방문요양등 재가 서비스 이용자는 수가인상에 따라 월이용한도액은 등별급 13,700~236,500으로 늘어나게 되었습니다.
◆ 본인부담금 계산은 쉽습니다
예를 들어 어르신이 5등급이시고,하루8시간 이상10시간미만을 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시게 된다면 8,217원이
본인부담금이 발생하게 됩니다.일요일은 제외한 한달이 25일이라고 가정하였을경우, 모두 출석하시고, 하루 8시간이상 10시간미만 주간보호을 이용하셨을 경우
8,217X25일= 205,425원으로 계산됩니다.
<실제비용>
주야간보호는 본인부담금외에 식사비, 간식비등의 비급여 비용이 들어갑니다.
비급여는 100% 자부담입니다.
비급여는 기괸마다 조금씩 다릅니다.
장기요양등급 신청 방법
장기요양등급을 신청하기 위해서는 먼저 필요한 서류를 준비해야 해요. 일반적으로는 주민등록증, 건강보험증, 그리고 의사의 진단서가 필요해요. 이후, 건강보험공단에 신청서를 제출하면, 평가를 통해 등급이 결정되죠. 이 과정에서 필요한 서류와 절차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건강보험공단의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.
장기요양등급과 관련된 서비스
장기요양등급을 받으면 다양한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어요. 방문요양 서비스는 가정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로, 요양보호사가 직접 방문하여 필요한 도움을 주는 방식이에요. 주간보호센터는 낮 시간 동안 전문적인 돌봄을 제공하는 시설로, 치매나 중증 장애인을 위한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있어요.
1. 2025년 등급별 재가급여 이용 월 한도액

등급과 2등급은 11% 이상 인상되었고
3등급, 4등급, 5등급 2% 이상 소폭 인상된 걸 보실 수 있습니다
2025년도 재가 급여는 많이 오른 모습입니다.
2. 2025년 방문요양 수가

3. 2025년 등급별 월 이용횟수 & 본인부담금
구 분
|
1등급
|
2등급
|
3등급
|
4등급
|
5등급
|
인지지원등급
|
|
월한도액
|
2,306,400
|
2,083,400
|
1,485,700
|
1,370,600
|
1,177,000
|
657,400
|
|
월서비스시간
|
240분
|
240분
|
180분
|
180분
|
180분
|
|
|
31일
|
28일
|
26일
|
24일
|
20일
|
|
||
본인부담금
|
일반(15%)
|
316,330
|
285,720
|
215,860
|
199,260
|
166,050
|
|
경감(9%)
|
189,800
|
171,430
|
129,510
|
119,550
|
99,630
|
|
|
경감(6%)
|
126,530
|
114,290
|
86,340
|
79,700
|
66,420
|
|
|
기초수급자
|
0
|
0
|
0
|
0
|
0
|
|
4. 2025년 가족요양 수가와 본인부담금
분 류
|
20일
|
30일
|
31일
|
|
이용시간
|
60분
|
90분
|
||
급여비용
|
491,600
|
993,600
|
1,026,720
|
|
본인부담금
|
일반(15%)
|
73,740
|
149,040
|
154,000
|
경감(9%)
|
44,240
|
89,420
|
92,400
|
|
경감(6%)
|
29,490
|
59,610
|
61,600
|
수급자가 충분히 돌봄 받으실 수 있도록 한도액이 크게 인상되었습니다.
또한, 중증 수급자라면 방문간호 건강 관리 서비스를 월 1회 이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.
장기요양등급의 평가 기준
장기요양등급을 평가하는 기준은 여러 가지가 있어요. 감각 기능, 인지 기능, 행동 변화, 간호 필요성, 재활, 이동 장애 등 다양한 영역에서 평가가 이루어져요. 각 영역에서의 필요와 능력을 평가하여 적절한 등급을 부여하게 되죠.
장기요양등급의 재정적 지원
장기요양등급을 받으면 재정적인 지원도 받을 수 있어요. 예를 들어, 장기요양보험에서 제공하는 혜택은 최대 85%까지 지원되며, 경우에 따라 무료로 제공되기도 해요. 이러한 지원은 노인분들이 경제적인 부담을 덜고, 보다 나은 돌봄을 받을 수 있도록 도와줘요.
마무리
장기요양등급은 노인분들이나 장애인분들이 필요한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제도예요. 이를 통해 다양한 서비스와 재정적 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, 보다 안전하고 편안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게 돼요. 장기요양등급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, 필요한 경우 적극적으로 신청해보는 것이 좋겠어요.
장기요양등급 신청 사이트
노인장기요양보험 홈페이지: https://www.longtermcare.or.kr/npbs/
이 사이트에서 장기요양인정 신청을 포함한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: https://www.nhis.or.kr/static/alim/paper/oldpaper/202205/sub/17.html
장기요양등급 신청 방법 및 필요한 서류에 대한 정보가 제공됩니다.
장기요양등급 신청은 인터넷, 모바일 앱, 우편, 또는 직접 방문하여 할 수 있으며, 신청 시 공동인증서로 로그인해야 합니다. 65세 미만의 경우 최초 신청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.
이것도 어려우시면 건강보험공단에 전화로 문의 하셔도 됩니다~~~
이 정보를 통해 장기요양등급 신청을 원활하게 진행하시길 바랍니다. 필요한 경우 추가적인 질문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해 주세요!
태그: #장기요양등급 #노인복지 #장기요양보험 #주간보호센터 #방문요양
'실버 꿀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노년의 건강 기구와 함께 해요~ (0) | 2025.04.10 |
---|